ITIL

No

기출 문제 및 출제 예상 리스트

회차

1

인시던트(Incident) 관리와 문제(Problem) 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정보관리

101회1교시

2

IDC(Integrated Data Center)에서는 운영 중인 정보자원(서버, 응용, 통신, 침해)의 운영 상태 확인(관제)이 중요한 업무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의 내용을 기술하시오

(가) 정보자원 중 서버, 통신 운영 상태 확인용 시스템에 대하여 각각 설명

(나) (가)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내의 절차(Process) 2개 이상 설명

응용

86회 3교시

3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개념 및 변경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시오.

응용

83회 3교시

4

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 방안 중 하나인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 이 최근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ITIL 핵심요소인 CMDB(Configuration Management Data Base) 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응용

81회 4교시

5

ITIL(Information Technology Infra structure Library)의 프로세스, 구성요소와 ITIL 도입 시 기대효과 및 향후 전망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응용

78회 3교시

6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ITIL 프로세스 모델을 도입하여 IT서비스를 관리하고자 한다. 서비스 지원영역의 장애, 문제관리 프로세스와 서비스제공영역의 가용성, 용량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시오

관리

75회 2교시

7

ITIL

관리

74회 1교시

   

ITIL(Information Technology Infra structure Library)

예상

문제

 

학습

포인트

 

키워드

 

/

 

연관

토픽

ITIL V3 프레임워크
Best Practice,
Service Support / Service Delivery,

Service Desk,
Incident Management,
Problem Management,
Change Management,
Configuration Management,
Release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Management,
Availability Management,
Service Continuity Management,
Service Level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암기법

 

기타

 

 

 

ITIL(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

문제) ITIL 개념 및 변경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

  • 효율적인 IT서비스 제공을 위한 ITIL의 개요
  • ITIL 의 정의
  • IT 서비스 제공 및 관리(IT Service Management: ITSM)를 위한 Best Practice 프로세스 모음집
  • IT 서비스 관리에 대한 사실상의 세계산업표준(de-facto standards)
  • ITSM을 위한 벤더에 종속적이지 않은 포괄적이면서도 공개적인 가이드
  • ITIL 필요성
  • IT 서비스의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의 접근 필요성
  • 정량적인 ROI 제공필요 및 ITIL의 중소기업 적용의 편리성제공
  • ITIL의 개념도 및 프레임워크
  • ITIL의 개념도

  • 글로벌 표준을 바탕으로 한 IT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침서로 IT서비스 관리 업계의 모범사례를 집대성한 IT서비스 관리 프레임워크














  • ITIL의 프레임워크
  • ITIL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The Business Perspective

비즈니스의 영속성 관리, 파트너쉽과 아웃소싱

Service Support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을 위한 프로세스

- 서비스데스크, 인시던트관리, 문제관리, 구성관리, 릴리즈관리, 변경관리

Service Delivery

서비스이행, 적절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

- 서비스수준관리, 재무관리, 용량관리, 가용성관리, 서비스연속성관리, 보안관리

ICT Infrastructure Management

- Network Service 관리, Operation 관리, Computer 설치 및 Acceptance System 관리

  

  • ITIL의 진화와 ITIL v3













  • ITIL의 진화단계
  • ITIL v2 : IT 서비스 중심
  • 고객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를 정립
  • ITIL v3 : 비즈니스 가치 중심
  • IT 서비스를 비즈니스를 위한 용도(Utility)와 보증(Assurance)을 제공하는 자산으로 규정
  • ITIL v3의 특징
  • 비즈니스 가치 중심
  • 비즈니스 가치 제공 중심의 IT 체계 수립을 위한 IT Service 전략 제시
  • 생명주기 관점 강화
  • 기존의 Service Support, Service Delivery와 같은 프로세스 묶음
  • 관점에서 생명주기 관점으로 IT Service에 접근
  • 서비스 전략, 설계, 운영 전환, 운영, 지속적인 개선의 사이클로 구성
  • IT Governance 지원
  • 정책수립, 분석, 포트폴리오 관리, 의사결정, 아웃소싱을 포괄하여, IT Governance와 연계 가능 인터페이스 지원
  • 정량적 ROI 분석
  • 기존의 정성적인 ROI(Return of Investment) 측정 모델에서,정량적으로 ROI를 측정할 수 있도록 ROI 측정 방안을 제시
  • ROI에 기여하는 프로세스에 더욱 집중하고, 그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가능
  • SKMS 도입
  • 기존 구성관리의 저장소 역할을 담당하던 CMDB(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를 대신하여, SKMS(Servi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을 도입
  • 조직의 IT 자산을 포함하여, IT Lifecycle 전체 동안 생산되는 조직의 모든 정보와 지식을 저장, 갱신, 관리

     

 

 

 

  • ITIL v3 프레임워크와 구성요소
  • ITIL v3의 프레임워크
  • ITIL v3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주요내용

특징

Service Strategy

(서비스 전략)

IT 서비스 전략 계획 수립

IT 서비스조직 및 관계 정의

IT 투자관리

경영진의 관리목표 및 방침전파

인적자원관리

- 외부요구사항의 준수

고객에 대한 이해

- 경쟁 및 투자 우선순위 지정

Service Design

(서비스 설계)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합의 및 문서화

서비스 설계 목표와 구성요소

비용모델, 이익/위험 분석

대안 솔루션 평가 및 선호 솔루션 구매

- 솔루션 개발

- 요구사항,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프로세스 고려 설계

Service Transition

(서비스 운영 전환)

릴리즈 계획 및 준비

구축, 테스트 및 서비스 파일럿

전환 계획 수립 및 준비

전환, 적용 및 폐기

- 서비스 전환 검토 및 종료

전환 계획

- 서비스 검증 및 테스트

Service Operation

(서비스 운영)

모니터링 및 통제

고객 요청 처리 및 의사소통 관리

이벤트, 인시던트, 문제, 변화 관리

서비스 성과 지표값 생성

- 전략/설계/이행 단계에의 참여

관리의 효율성

- 안정성, 접근관리

Continual Service Improvement

(지속적 서비스 개선)

서비스 리포트 분석 및 트랜드 파악

성과 평가 및 서비스 성과 베이스라인 수립

서비스 개선 프로그램 수행

- 전략/설계/이행 단계로의 피드백

Plan-Do-Check-Action(PDCA)

- 서비스 보고 및 측정

 

  • ITIL의 적용절차 및 유사모델
  • ITIL의 적용절차

적용절차

내용

실천방법

 

 

 

 

 

 

 

 

 

 

 

 

ITIL에 대한 교육 및 세미나를 통한 ITIL 프로세스 이해

교육, 세미나

현 운영조직의 프로세스 도출

문제점 분석

Problem solving,

SWOT

현 운영조직의 프로세스를 ITIL과 비교

현 운영조직의 프로세스 강점은 유지하고 문제점만 해소하는 방향으로 적용

ITIL 적용대상선정

ITIL 적용 대상에 따라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경 수행

 

ITIL은 구축보다 지속적인 관리필요

효과분석을 통해 ITIL 적용전과 후의 효과분석 수행

변화관리 수행

  • ITIL V3의 유사모델 비교

구분

ITIL

COBIT

CMMI

정의

ITSM에 대한 Best Practice를 집대성한 산출물로 사실상의 산업표준

조직이 전사적으로 IT거버넌스 구조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이고 일반적으로 인정된 IT 통제구조

조직의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모델

목적

비즈니스와 고객의 현재와 미래의 요구에 맞게 IT 서비스를 배치

정보기술보안과 통제에 관한 참조 프레임워크를 경영층, 사용자, 보안분야 종사자에게 제공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획득, 유지보수하기 위한 조직의 공정 및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이드 제공

특징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맞춰 IT 서비스가 비즈니스 전략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 방법론

제공

조직의 목적과 필요성의 관점에서 통제 목적을 개발하여 제공

조직에 대한 평가 결과를 요약해주며 조직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단일한 등급체계 제공

 

  • ITIL V3과 ITIL V2의 비교

구분

ITIL V3

ITIL V2

영역

서비스전략 등 5개영역

Service support 등 7개영역

관점

비즈니스 안정의 접근

IT중심관점

활용범위

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사용

대기업중심

구성 Framework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통합을 위한 LifeCycle 형태

독립적인 프로세스 구조

: 특정 프로젝트 모델관리

실무적용

How to do

What to do

국제표준

ISO/IEC 20000

ISO 9000

서비스/솔루션제공자의 ITIL스킬

ITIL 제공자 자격을 구체적으로 언급

- 투입인력이 어떤 수준의 인증서를 보유했는지 여부

컨설팅 제공자에 대한 기본 자격규정

ROI측정

ROI 측정방안 제시

제공하지 않음

  1. ITIL V2가 프로세스 기반으로 ITSM 에 접근했다면 V3는 라이프 사이클에 초점을 맞추는 철저한 현업중심, 비즈니스 중심
  2. ITIL V3는 V2의 약점으로 지적된 ROI 부분이 강화
  3. 기업의 시스템 가용성이나 트랜잭션당 비용 등 기업의 특정에 맞는 지표를 찾을 수 있음

 

 

 

 

 

 

  • ISO20000, ITILV2.0, ITIL V3.0 의 비교도

 

 

 

  • Service Support & Delivery 및 ITSM(IT Service Management)
  • Service Support
  • IS팀에서 개발 및 운영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의 실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고, 시스템 구축시 가장 사용도가 높으므로 면밀한 논리적, 물리적 설계가 요구됨
  • IT 서비스 사용자가 IT 서비스를 항상 받을 수 있도록 하는 Process 정의(사건, 장애, 변경 등)
  • 안정적인 Day to Day 서비스 지원을 위한 프로세스

 

Process

상세 내용

Service Desk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간 단일접촉점 (Single point of contact) 제공

Incident Management

Incident 발생시 최단시간에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으로 복귀하도록 조치, 활동 수행

Problem Management

Incident의 근본원인을 찾아 해결(재발 방지, 사전 예방)

Configuration Management

IT 서비스를 관리하고 제공하는데 사용되어지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유지 및 제공

Release Management

IT Service Component의 가동계로 release시 사전에 상세한 Test, Rollout 계획을 수립

Change Management

표준화된 방식 및 처리순서를 정립하여 적용함

IT Service Component의 변경시 발생가능 오류로 인한 장애 최소화

Service Desk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간 단일 접촉점 (Single point of contact) 제공

 

  • Service Delivery
  • 고객의 비즈니스 전략에 IT 서비스를 일치시키고, IT 서비스의 품질과 비용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략적 측면에서 협의하고 접근하는 프로세스로 구성됨
  • IT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에게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Process 정의 (서비스 수준, 가용성)

 

Process

상세 내용

SLM

(Service Level

Management)

IT 서비스 달성에 대한 지속적인 순환작업과 빈약한 서비스 제거작업

IT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

Financial Management

자산과 자원의 비용대비 효과적인 관리 제공

Capacity Management

비즈니스 요구사항, 조직 운용상황, IT 자원 이해 기초

현재와 미래의 용량, 성능을 비용대비 효과적 관점으로 제공

Availability Management

비즈니스적인 목적에 적합한 비용대비 효과적인 가용성수준 제공을 위하여 IT 인프라, 서비스, 조직 능력의 최적화

IT Service

Continuity

Management

비즈니스적인 시간 척도에 요구되어지고, 동의된 IT 기술과 서비스 설비들을 보장 및 비즈니스 영속성 관리를 지원함

Security Management

IT 인프라와 서비스의 동의된 가용성을 보증하는 수준의 보안을 보장 및 비즈니스 기능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증함

  • ITSM (IT Service Management)
  • IT중심에서 비즈니스 관점으로, 대기업 중심에서 중소기업 포함
  • Lifecycle 관점 강화(IT 기획부터 서비스 설계, 운영, 개선, 전략을 포함)
  • IT 거버넌스 지원 강화(정책수립, 분석, 포트폴리오 관리, 의사결정, 아웃소싱 등)

 

 

   

 

 

 

 

 

 

 

 

 

 

 

 

 

 

 

  • ITIL v3의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 ITIL의 기대효과
  • IT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와 고객의 만족도 증대
  • 서비스 가용성을 향상시켜 사업의 이윤과 매출 증대
  • 재작업, 시간손실을 감소시켜 비용 절감 및 자원 관리와 활용도를 향상
  • ITIL V3가 발표되면서 계량적인 ROI의 측정이 쉬워짐
  • ITIL V3 조직적용 고려사항
  • IT서비스 수준관리 시스템 구축과 조직의 서비스 수준관리 성숙도를
  • 고려한 점진적 도입 활용
  • 기존 ITIL 기반 ITSM도입기업, ISO20000 인증기업은 서비스전략, 개선부분 중점 고도화가 바람직함
  • 신규도입예정기업은 규모, 특성에 따라 선별적 도입
  • ITIL 의 향후 전망
  • ITIL 을 활용한 Reference site의 확보가 필요
  •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까지 적용이 가능함으로 시장확대가 전망 "끝"


더보기

댓글,

착한사기꾼